번호 | 제목 | 닉네임 | 조회 | 등록일 | |
---|---|---|---|---|---|
6 |
![]() |
소중한 사회적 자산으로 녹대 온배움터
![]() ![]() |
|||
이무성 |
4807 | 2012-04-09 | |||
소중한 사회적 자산으로서 녹대 온배움터
-이 무 성(온배움터 대표)
‘스스로 깨닫고 말하고 행동하게 하라’
지난 3월 27일 운명하신 고 허병섭 목사님의 일관된 교육철학이었습니다.
세상에서 온갖 술수에 휘말리기도 하신 분으로...
|
|||||
5 |
![]() |
자기해체의 생태계 원리를 정치문화에 접목을 | |||
이무성 |
4552 | 2012-02-17 | |||
생태계 자기해체 원리를 정치문화에 접목해야
-이 무 성 (온배움터 녹색대학교 대표)
선거의 계절을 실감한다. 길거리에선 정치 입지자들 저마다 자신이 최적임자라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정치인들은 많지만 정치가가 없는 한국의...
|
|||||
4 |
![]() |
여기 사람이 있다! - 김종길 (온배움터 생명문화연구소 부소장. 경기도미술관 교육팀장)
![]() ![]() |
|||
김종길 |
5286 | 2011-08-05 | |||
여기 사람이 있다!
파견미술가 이윤엽이 외치는 소리
김종길 미술평론가
2009년 2월 23일, 판화가 이윤엽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용산 여기 사람있다>를 올렸다. 오른송을 번쩍 쳐들고 ‘사람있다’고 소리치는 얼굴 밑으로 새겨 놓...
|
|||||
3 |
![]() |
빛의 소리 꽹과리와 풍물굿 악기 특성 - 조춘영 (생명문화연구소 참여샘)
![]() ![]() |
|||
온배움터 |
10251 | 2011-05-16 | |||
들어가며
풍물굿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지방의 마을과, 도시, 학교 등지에서 연행되고 살아있는 전통문화이다. 이는 우리 민족이 생긴 이후 줄기차게 전승하고 발전시켜 온 공동체 민중예술이다. 필자는 이미 풍물굿의 연원을 단군신화의 환...
|
|||||
2 |
![]() |
웹진 '온울림'을 시작하며 | |||
온배움터 |
4968 | 2011-03-22 | |||
녹지사님, 안녕하셨어요?
혹독하게 추운 겨울도 어느새 지나고 봄기운이 완연합니다. 이제 농촌 새벽은 경운기 소리와 함께 시작하며
들녘엔 감자심는 농부들이 바쁜 손을 놀리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깨어나 활기차게 운동을 시작하는 봄...
|
|||||
1 |
![]() |
문화예술교육의 내부 혁명을 위하여 - 김종길 (온배움터 생명문화연구소 부소장. 경기도미술관 교육팀장) [2] | |||
온배움터 |
5085 | 2011-03-18 | |||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에서 ‘문화예술’은 교육의 부재를 확인하는 ‘반짝 이벤트’ 프로그램이 된 지 오래다. 교육철학이 피폐한 학교나 사회에서 문화예술은 깜짝 쇼를 펼치거나 흥미유발 서커스를 위해 초대되니까. 그나마 이벤트의 감동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