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배움터 운영위원회 회의록
일시: 2016년 5월 10일 19:30~22:00
장소: 온배움터 작은온돌강의실
참석: 9명- 전문과정(정미은, 최원상, 유철), 전공과정(성두환), 온배움터 대표(이종원), 녹지사(이순일, 조용두), 기초과정(옥광운), 참관(박복수)
불참: 1명- 녹지사(이무성)
사회: 이종원
서기: 유철
안건:
1. 운영위원장 선출의 건
1) 이종원님이 이순일님을 추천함.
2) 정미은님이 동의하고, 최원상님이 재청함.
3) 이순일님이 수락함.
4) 운영위원 만장일치로 이순일님이 운영위원장으로 선출됨.
2. 사단법인 온배움 창립총회 의사록 작성 및 기명
1) 창립사항 보고건- 2016. 4. 23. 이종원이 설립자 대표가 됨
2) 정관 승인건- (학교 홈페이지에도 게시됨)
3) 임원 선임건- 이사장(이순일), 감사(하병주, 조성덕); 사단법인 온배움의 정관에 따라 이사장은 창립총회에서 선임한 것으로 함.
위 3가지 의안을 검토, 확인하여 창립총회 의사록을 작성하고, 운영위원회 참석자가 사단법인 창립 발기인 자격으로 기명함.
참고사항: 경남도청에 사단법인 설립 허가신청시 구비서류 설립 발기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약력 정관 1부 재산목록(기본재산, 운영재산) 사업계획서 및 수지예산서 임원예정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취임승낙서 |
3. 사단법인 온배움 이사회 의사록 작성
1) 상임이사 선임의 건- 온배움터 대표가 당연직 상임이사가 됨.
온배움터 대표 이종원님을 당연직 상임이사로 선임하여 의사록을 작성하고, 이사진이 기명함.
4. 온배움터 부채상환 펀드조성
1) 펀드조성 사업을 2016년 5월 10일자로 시작함.
2) 출자이율 결정: 2016년 5월 10일부터 2017년 5월 9일까지 연이율 2.34%를 출자자에게 지급함-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에 탑재된 ‘1년 정기예금 금리(2016년 5월 10일 현재 1.95%)의 120%’를 결정기준으로 하여 2.34%를 향후 1년간 적용하고, 매년 5월 10일 금리를 조정하되 시중 이율의 급격한 변동이 있을시 운영위원회에서 재조정할 수 있음.
3) 출자금액: 1구좌 100만원 이상
4) 이자지급간격: 매월, 6개월, 1년 단위의 세 가지 선택지를 둠.
5) 출자금의 반환: 반환요청이 있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
6) 약정서 발급: 출자금에 대하여 온배움터 대표인 이종원님 명의로 약정서를 발급하되, 온배움터 재산이 사단법인 온배움에 이전된 경우에는 사단법인 온배움 명의로 약정서를 발급함.
7) 펀드의 규모: 부채총액인 1억 8천만원을 한도로 함.
5. 다음 정기운영위원회 일정
1) 2016년 8월 9일 화요일 19:00
2차 운영위원회(2016년8월19일)에 제가 참석할 수 없어 대신 아래와 같이 의견을 올립니다.
1. 펀드조성을 통한 낮은 이자로의 대체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참여하여 긍정적인 효과는 별도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공동체에서 경제적인 이해관계는 가급적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도 확립되지 않아
업무를 최대한으로 단순화하는 것이 분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녹지사 후원금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면 예전 녹대에서 부담해야 할 부채는 2년이면 상환이 가능합니다.
펀드보다도 더 시급하게 운영위원들이 의견을 모아야 하는 것이 현재는 고통이 따르겠지만 후원금의 절반이상을 부채원금에 사용하겠다는 혁명적인 발상의 전환입니다.
2. 후원회 활성화를 위해 예전 지역별 후원회 운영위원을 복원토록 제안합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필요성은 여러차례 홈피 등을 통하여 제시하여 생략하겠습니다.
3. 젊은 청년들로서 녹대 초기에 자신들의 기득을 포기하고 어른들의 실험에 따라 녹대 학부생들로서 온배움터와 현재 함께하고 있는 분들이 그들의 뜻을 펼칠 수 있도록 이들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기존 참여한 분들이 잘못될 것이라는 우려에서 벗어나 이들을 신뢰하고 이들에게 초기 녹대정신의 구현을 기대하고 적극 지원해 주는 실천의 프로그램을 운영위원회나 학교대표 등 집행부에서 제시할 수 프로그램을 구체화하시길 바랍니다.
사족을 달자면 제도권 대학으로서 그나마 다른 사학에 비하여 괜찮다는 호심학원 광주대에서의 2년간의 교수생활 중 제도권 대학에서 많은 한계를 느끼고 그만큼 제도권 녹대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비판정신이 살아야 하고 모든 관점을 사학의 이사장이나 총장 그리고 정년이 보장된 일부교수의 입장이 아닌 학문적으로 열정이 있는 젊은교수님들이나 학생들을 위해 발언하고 행동해야 함에도 전혀 그렇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한국 대학의 현실입니다. 저도 재임용해서 탈락하여 교원소청심사위원회 소청을 통해 재임용거부처분 취소로서 복직명령을 받았지만 비판자들을 교직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사학의 나쁜 관행으로 행정소송을 학교재단에서 제기하여 법적인 준비를 8월까지는 수행해야만 합니다. 직접 운영위원회 참여하여 후원회 운영위원으로서 제 의견을 제시하여야 함에도 그럴 수 없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닉네임 | 조회 | 등록일 |
---|---|---|---|---|
353 | 후원회 운영위원(이무성)으로서 의견 개진 | 이무성 |
8168 | 2018-04-20 |
![]() |
20160510 1차운영위원회 회의록
![]() |
유철 |
53560 | 2016-05-16 |
351 | 2016년 1차 운영위원회 회의공지 [1] | 온배움터 |
13963 | 2016-05-07 |
350 |
2016년 제14차 큰야단법석 총회 회의록
![]() |
최원상 |
21337 | 2016-04-30 |
349 |
2016 0328 운영위 회의록 및 검토된 사단법인 온배움 정관 및 운영위 운영규정 규정
![]() |
온배움터 |
16030 | 2016-04-05 |
348 |
20151204 온배움터 4차운영위원회 보고
![]() |
유철 |
7580 | 2015-12-24 |
347 | 10,16 발전위 회의 보고 | 미은 |
4657 | 2015-10-19 |
346 | 2015년 2차 운영위원회 회의합니다. [1] | 신성우 |
5240 | 2015-09-09 |
345 | 2015 1차 운영위원회 | 춤추는들녘꽃 |
5680 | 2015-06-13 |
344 |
발전위원회 보고서
![]() |
춤추는들녘꽃 |
5730 | 2015-04-22 |
343 | 3차운영위원회(6차발전위)회의록 | 춤추는들녘꽃 |
6739 | 2015-04-02 |
342 | 학교 발전위원회 워크숍 내용 [1] | 춤추는들녘꽃 |
15007 | 2015-01-29 |
341 |
온배움터 학교발전위원회 회의 2014.08.09
![]() |
신성우 |
6883 | 2014-08-11 |
340 | (공고) 1차 운영위원회 | 춤추는들녘꽃 |
6163 | 2014-07-05 |
339 |
3차 운영위원회 회의록
![]() |
춤추는들녘꽃 |
7872 | 2014-03-25 |
338 | 3차 운영위원회 소집 | 춤추는들녘꽃 |
15836 | 2014-03-12 |
337 | 11기 2차 운영위원회 의결사항 | 온배움터 |
10247 | 2013-10-28 |
336 | 11기 1차 운영위 회의록 | 춤추는들녘꽃 |
12145 | 2013-07-18 |
335 | [공지]2013년 1차 운영위원회 | 춤추는들녘꽃 |
12878 | 2013-06-10 |
334 | 신임 운영위원장 인사 | 춤추는들녘꽃 |
16339 | 2013-05-28 |